본문 바로가기

서버_AWS_LINUX_CICD

개발서버 구축 - 1

이번에 회사에서 신규 서비스를 추가할 예정이라고 한다.

 

기존의 서비스에 덧붙여질 예정이지만 별도의 독립된 서버로 배포가 될 예정이라고 한다.

 

기존서비스는 AWS에 배포가 되어있어서 우리팀도 AWS에 똑같은 개발환경을 구축하려고 했다. 

 

하지만 아직 정식 프로젝트 승격이 안된 상태이다보니 별도의 AWS계정 생성이 되지 않았고, AWS연습계정에 생성을 할 경우

 

퇴근때마다 서버를 내리라고 하셨다...

 

그래서 일단은 사내에 존재하는 개발컴퓨터를 이용해서 개발환경을 구축하기로 했다.

 

1)

서버컴퓨터의 운영체제는 윈도우 11이고, 기본제공되는 Hyper-V를 이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기로 했다.

 

2)

운영체제는 AWS-Linux와 가장 유사한 CentOS-7을 설치했다.

CentOS 공식홈페이지에서 .ios 파일을 다운받고, Hyper-V에서 인스턴스 생성시 첨부파일로 넣어서 자동으로 설치 될 수 있어서 아주 편했다.

 

3)인터넷 열기

CentOS는 설치시 기본적으로 인터넷이 닫혀있다.

그래서 MYSQL,wget,java-jdk등을 설치하려고 해도 불가능하다.

그래서 ifconfig -a 명령어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하고 on 해주는 설정을 했다.

그리고 ifcfg-eth0 파일에 재부팅 시에도 자동으로 인터넷 연결을 하도록 설정 후 재부팅한다.

 

4)Java설치 17

Java는 wget을 통해서 설치가 가능하다.

wget을 설치하고 wget으로 java를 설치했다.

 

5)MySQL 5.7.40

MySQL도 wget으로 설치했다.

 

6)redis설치

비밀번호 설정도 한다.

 

 

7)포트포워딩

일단 서버컴퓨터가 있는 인터넷망과 우리가 일하고 있는 인터넷망은 다른 공인IP를 사용한다..ㅋㅋㅋㅋ

사무실 호수부터가 다르다...ㅎ

그래서 어차피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했고, 어차피 집에서도 접속을 해야했기에 포트포워딩을 진행했다.

192.168.0.1 ipTime을 열어서 해당 인스턴스의 ip와 port를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했다.

 

   - ssh 22

   - mysql 3306

   - was1 ~ was5 8080~8084

   - redis -> 6379

 

 

8)방화벽 열기

포트포워딩을 했는데도 외부에서 접속이 안됬다.

기본적으로 CentOS에서 방화벽이 열려있지 않다.

그래서 firewall에 port를 추가해주고 firewall을 reload 해주었더니 접속이 가능해졌다.

포트포워딩 해두었던 모든 포트들을 방화벽에 등록했다.

 

9)계정추가

모든 작업들을 root로 진행을 했지만, 사실 root는 특히 외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그래서 각 사용자들을 위한 계정과 배포를 위한 계정을 생성했다.

 

다음은 간편한 배포를 위해 docker와 CI/CD툴인 Teamcity를 정리 할 예정이다.

'서버_AWS_LINUX_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서버 구축 - 2 CI/CD Teamcity  (0) 2023.04.27
환경변수와 bin(binary)  (0) 2022.12.23